본문 바로가기
한국주식

OLED TV 와 2차전지 수혜 동시에 갖춘 '나인테크'

by 아돈이 2023. 3. 12.
728x90

얼마 전 삼성전자는 OLED TV의 생산 재개를 발표했습니다.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종의 투자가 계속되는 가운데 디스플레이 장비와 2차 전지 장비등 성장성 2가지를 동시에 갖춘 '나인테크'란 기업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차 전지, 디스플레이 장비업체

 

2017년 소형 배터리 장비 매출을 시작으로,

 

2019년 LG에너지설루션 폴란드향,

 

전장용 중대형 장비 매출이 본격화되며,

 

2020년 코스닥 상장에 성공.

 

2022년에는 반도체 후공정 Wet 공정설비를,

 

싱가포르 실리콘박스로 납품하며,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반도체 장비 포트폴리오 구축.

 

2022년 제품별 매출액 비중은

 

이차전지 46.2%,

 

디스플레이 26.8%,

 

리튬이온 이차전지 (Talos) 14.4%,

 

기타 12.6%로 구성됨.

 

 

 

LG에너지설루션향 라미네이션, 스태킹 장비 수주 모멘텀

 

LG에너지설루션향으로 Lamination 및 Stacking 장비를 공급하고 있으며,

 

2023년 고객사의 공격적인 캐파 확대에 따른 수주 확대 수혜가 가능할 전망.

 

2022년 말 이차전지 장비 수주잔 고는 약 606억 원으로 2022년 연간 이차전지 장비 매출액이 412억 원을 기록한 점 감안 시 2023년 이차전지 장비 실적 고성장 기대.

 

2023년 LG에너지설루션과 GM합작법인인 미시간 생산라인 등 신규 수주 확보 및 일부 매출 반영이 가능하며, 2024년에는 스텔란티스와 LG에너지설루션 합작법인 신규 증설 수혜도 더해질 전망

 

 

중국향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 성장세 지속

 

동사는 디스플레이 전/후공정에 사용되는 Wet Station 장비,

 

OLED 디스플레이 진공/N2 물류 장비 공급.

 

과거 LG디스플레이가 주력 고객사였으며,

 

최근에는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를 중심으로 매출 발생하고 있음.

 

BOE, TIANMA를 포함한 중국 디스플레이 업체들은 OLED 투자를 가속화하며 LED에 이어 빠르게 시장 침투율을 늘리고 있음.

 

중국 고객사 수 주 증가를 기반으로 나인테크의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액은 2021년 196억 원 → 2022년 239 억 원 → 2023년 360억 원으로 고성장세 이어질 전망.

 

2023F 매출액 1,430억 원(+60% YoY), 영업이익 100억 원(+71% YoY),

2023년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60.3% 증가한 1,430억 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70.8% 증가한 100억 원을 추 정한다.

 

주요 제품별 예상 매출액은 이차전지 장비 800억 원(+94.2% YoY),

디스플레이 장비 320억 원(+34.1% YoY),

리튬이온 이차전지 160억 원(+24.4% YoY),

기타 150억 원(+33.3% YoY).

 

이차전지 장비의 경우

폴란드, 및 중국지역향 공급이 실적 성장을 견인할 전망이며, 디스플레이 장비 매출액 대부분 중국 고객사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타 매출액의 경우 연결 자회사 탈로스 실적 온기 반영, 반도체 장비 납품 지속 및 열전소자 신규 매출이 더해질 전망이다.

 

리스크 요인

 

동사는 2023년 캐파 확대를 위해 세종시 신규 생산라인 증설이 진행될 예정이다.

생산시설 구축을 위한 설비투 자 등 비용 확대와 생산 및 관리 인력 충원이 계획되어 있으며 2022년 동사의 인력은 100명 이하였으나 2023년에는 150명 이상으로 증가할 계획이다.

 

고객사 수주 대응을 위해 선제적인 캐파 확대와 비용 투자가 불가피해 2023년 외형 성장 폭 대비 영업 레버리지 효과는 소폭에 그칠 전망이다. 2021년 1월 제2회 차, 2022년 2월 제3회 차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오버행 리스크를 보유하고 있다. 2회 차 전환사 채 규모는 170억 원으로 채무상환 및 운영자금으로 활용되었으며 사채 만기일은 2026년 1월 27일이다. 한편 2 회사 전환사채 규모는 100억 원으로 운영자금 및 타 법인 증권 취득자금으로 활용되었다. 사채 만기일은 2027년 2월 28일이며, 2023년 2월 28일부터 전환 청구가 가능하다. 3회 차 전환사채의 조정 후 전환가액은 현재 3,199 원으로 주식수 환산 시 약 3,125,977주로 유통가능 주식수의 8% 수준이다.

728x90

댓글